본문 바로가기
역사 속 음식 탐구

왕의 아침상에서 배우는 약선 식단 – 합스부르크부터 조선, 오스만까지

by 선식담 2025. 4. 19.

합스부르크, 조선, 에도막부, 청나라, 오스만 제국의 아침 식단 

우리가 매일 아침 먹는 식사는 단순히 공복을 채우는 것을 넘어, 하루의 컨디션을 결정짓는 중요한 의식입니다.
그렇다면, ‘왕의 아침’은 어땠을까요? 역사 속 왕들은 아침마다 어떤 음식을 먹었고, 왜 그런 식단을 유지했을까요?
이 글에서는 유럽, 아시아, 이슬람 세계의 5개 제국—합스부르크, 조선, 에도막부, 청나라, 오스만 제국—왕의 아침 식사를 살펴보고, 이를 현대 영양학적으로 해석하며 약선요리로도 응용해봅니다.


1. 합스부르크 제국 – 검은 호밀빵과 허브치즈의 절제된 아침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한 합스부르크 왕가는 아침 식사를 간소하게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검은 호밀빵, 허브 치즈, 꿀, 우유 또는 커피 정도로 구성되었죠. 고전적인 유럽식 ‘컨티넨탈 브렉퍼스트’의 원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영양학적 해석

  • 호밀빵은 혈당을 천천히 올려주는 저당지수 곡물로 장 건강에 유익하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킵니다.
  • 허브치즈는 단백질과 칼슘, 소화 기능을 도와주는 허브 성분까지 포함되어 아침 식사로 이상적입니다.

약선요리 응용

  • 한방에서는 호밀의 풍부한 섬유질과 허브의 향기 성분이 위장 기능을 돕는다고 보며, 소화력이 약한 아침에 부담을 덜 주는 식단입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아침 식사 – 검은 호밀빵과 허브치즈

합스부르크 가문은 중세 유럽에서 중요한 정치적, 문화적 역할을 담당한 왕족으로, 그들의 식생활도 당대의 다른 왕족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특히, 합스부르크 가문

alkongkong.com

 


2. 조선시대 – 국과 밥, 계절 나물의 정갈한 수라상

조선의 왕들은 하루 두 끼를 먹었고, 아침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아침 식사는 백미밥, 장국, 제철 나물, 어육류 반찬으로 구성된 ‘수라’가 기본이었습니다. 왕의 식사도 철저히 계절을 따랐고, 궁중 내의 ‘수라간’에서는 음식의 음양과 오행까지 고려했습니다.

 

현대 영양학적 해석

  • 전통 한식의 ‘비율’은 실제로 이상적인 영양 균형을 이룹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섬유질, 미네랄이 고루 들어 있죠.
  • 특히 발효된 장국은 장내 미생물 군집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약선요리 응용

  • 제철 나물과 곡류는 『동의보감』에서 계절별 건강식으로 강조되며, 오행에 맞는 음식 조화는 체질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조선 왕들의 아침식사, ‘수라상’의 구성과 영양학적 의미

조선 왕조의 수라상은 단순한 아침식사를 넘어, 왕의 건강과 정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상차림이었습니다. 수라상은 왕의 체력을 유지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하루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

alkongkong.com

 


3. 에도 막부 – 밥, 된장국, 생선구이의 ‘와쇼쿠’ 정석

에도 시대 쇼군의 아침은 흰쌀밥, 된장국, 생선구이, 절임 반찬이 대표적이었습니다. 간결하지만 균형 잡힌 구성으로, 일본 전통 ‘와쇼쿠’의 뿌리입니다.

 

현대 영양학적 해석

  • 된장국 속 발효된 된장은 장 건강에 유익하고, 생선은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해 뇌 건강에 좋습니다.
  • 밥과 국, 단백질 반찬, 발효 반찬이라는 조합은 WHO에서도 모범 식단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약선요리 응용

  • 된장의 발효 성분은 동양 약학에서도 ‘담을 삭이고 기를 돕는다’고 여겨지며, 생선은 ‘정신을 맑게 한다’는 기록도 전해집니다.

 

 

밥 한 공기에 깃든 철학 –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 ‘와쇼쿠’ 아침 탐구

에도 시대 쇼군의 밥상, 무엇이 특별했나?에도 막부(1603~1868)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시작된 일본 역사상 가장 안정된 통치 시기였다. 약 260여 년 동안 이어진 평화는 전쟁보다 생활문화와

alkongkong.com

 


4. 청나라 – 죽과 보양탕의 조화로운 아침

청나라 황제의 아침 식사는 비교적 부드럽고 따뜻한 음식이 중심이었습니다. 잣죽, 흰죽, 약초를 더한 보양탕, 꿀차 등이 대표적입니다.

 

현대 영양학적 해석

  • 죽은 위장을 편안하게 해주고, 흡수가 빠르며 특히 아침 공복에 이상적인 음식입니다.
  • 약초가 들어간 보양탕은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효과가 큽니다.

약선요리 응용

  • 잣은 『본초강목』에서 “정신을 윤택하게 하고 폐를 윤하게 한다”고 했으며, 죽에 넣으면 기력 회복에 좋습니다.

 

 

청나라 황제의 아침: 잣죽과 보양탕으로 여는 부드럽고 따뜻한 하루

고대 중국의 마지막 왕조였던 청(淸)나라는 강력한 중앙집권과 번영을 누린 시기였습니다.그 안에서도 황제의 아침 식사는 한 바가지의 잣죽과 뜨끈한 보양탕, 그리고 달콤한 꿀차로 대표되었

alkongkong.com

 


5. 오스만 제국 – 견과류와 꿀, 요구르트 중심의 활력식

오스만 술탄들은 견과류, 말린 과일, 꿀, 올리브, 요구르트, 얇은 빵(에크맥) 등을 곁들인 아침을 즐겼습니다. 이슬람의 식문화에서는 신선하고 가공되지 않은 재료가 강조됩니다.

 

현대 영양학적 해석

  • 견과류는 심장 건강에 좋고, 올리브는 좋은 지방산 공급원입니다.
  • 요구르트는 장 건강과 면역력 향상에 탁월한 식품입니다.

약선요리 응용

  • 말린 무화과, 대추야자 등은 한방에서도 ‘보혈, 장 기능 강화’에 좋다고 전해지며, 요구르트는 위와 장을 따뜻하게 한다는 시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술탄의 한 입: 견과류·꿀·요구르트로 깨우는 오스만의 아침

오스만 제국, 1299년부터 1922년까지 약 600년 동안 번영을 이끈 이 거대한 제국은 지중해와 중앙아시아를 잇는 교역로의 중심이었으며, 그곳의 문화와 식사 방식도 매우 독특했습니다. 제국의 수

alkongkong.com

 

 


현대 약선요리로의 응용

유럽의 절제, 아시아의 조화, 이슬람의 환대 정신이 담긴 ‘왕의 식탁’을 모티브로 하여, 현대 약선 철학오행 이론을 접목한 동서양 융합 건강 아침 식단입니다.

  • 합스부르크 제국의 검소한 호밀빵과 허브치즈
  • 조선 왕실의 제철 나물과 발효장국
  • 에도 막부의 오메가-3 생선과 발효된 된장
  • 청나라 황제의 따뜻한 보양죽
  • 오스만 제국 술탄의 견과, 꿀, 요거트

이 모든 요소를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현하면 어떨까?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오행밸런스 플레이트》입니다.

 

메뉴 구성

① 허브치즈 잣보리죽 

[소화력 회복 | 장 보호 | 정신 안정]

  • 재료: 보리쌀, 잣, 양파, 셀러리, 오레가노 허브치즈
  • 영양 포인트:
    • 보리는 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포만감 지속
    • 잣은 뇌에 영양을 주고, 폐를 윤택하게 함
    • 허브치즈는 단백질과 함께 소화 촉진 효과

  청나라 잣죽 + 합스부르크 허브치즈의 조화


② 된장-올리브 나물 무침 3종 

[간 해독 | 장 건강 | 봄철 정화]

  • 재료: 냉이, 달래, 미나리 + 된장 소스 +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 영양 포인트:
    • 된장의 발효균은 장내 균형 유지에 탁월
    • 올리브유는 혈관을 부드럽게 해주며 미네랄 흡수 돕기

 조선의 나물 반찬 + 오스만식 올리브 오일 조리법 응용


③ 오븐 구이 고등어 with 꿀·대추야자 소스 

[뇌 활성화 | 항산화 | 피로 회복]

  • 재료: 고등어, 대추야자, 생강, 꿀, 레몬
  • 영양 포인트:
    • 고등어의 오메가-3는 집중력과 기억력 강화
    • 꿀과 대추야자는 철분·칼륨 풍부, 피로 회복에 좋음
    • 생강은 혈액순환과 소화력 강화에 효과적

 에도 막부의 생선구이 + 오스만의 달콤한 환대 스타일


④ 무화과 요거트 볼 with 계피·호두 

[장 내 환경 | 피부 보습 | 여성 건강]

  • 재료: 플레인 요거트, 말린 무화과, 호두, 계피
  • 영양 포인트:
    • 무화과: 보혈, 장 운동 개선
    • 요거트: 유산균과 단백질 공급
    • 계피: 혈당 안정화 및 향기 요법

 오스만 요구르트 디저트 + 한방 보혈식재료 융합


⑤ 도라지 생강 꿀차 

[호흡기 보호 | 기력 회복 | 아침 공복 케어]

  • 재료: 도라지, 생강, 계피, 꿀
  • 영양 포인트:
    • 도라지는 기관지 보호, 생강은 소화촉진
    • 계피는 기를 따뜻하게 하고, 꿀은 면역력을 보조

 청나라의 꿀차 + 동의보감의 약선차 응용

 

도라지 생강 꿀차만으로 ‘완전한’ 아침식사 대용이 될 수 있느냐?
결론부터 말하면, "경우에 따라 YES입니다."

 

 

▒ 이런 경우 ‘아침 한 끼’로 충분

  1. 위가 약해서 아침 식사를 거의 못 하는 경우
    → 위장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기초 에너지 공급 가능
  2. 아침 공복 유산소 운동 전후
    → 공복 유지하면서 순환 + 면역 + 소량 당분 보충 가능
  3. 간헐적 단식 중, 16:8 루틴을 유지 중인 경우
    → 위에 무리가 없고 장 기능 깨지지 않게 도와줌
  4. 몸이 붓고 무거운 날, 디톡스용 아침
    → 물리적인 부담 없이 대사 촉진 + 이완 효과

  하지만 이런 경우 보완 필요

상황보완  예시
두뇌 활동 많은 날 (학생, 직장인 등) 죽, 삶은 달걀, 요거트 등 단백질/탄수화물 보충
격한 체력 노동 예정 바나나, 견과류 등과 함께 먹는 걸 추천
저혈당 증세 있는 사람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함께 섭취할 것

 

  실전 조합 예시

구성 특징
도라지 생강 꿀차 + 바나나 1개 뇌에 당 보충 + 혈액순환
도라지 생강 꿀차 + 삶은 달걀 1개 포만감 + 근육 유지
도라지 생강 꿀차 + 곡물 에너지바 바쁜 출근길용 아침 간편세트

오행 철학으로 보는 식재료의 조화

오행주 재료 인체 작용
냉이, 달래, 셀러리 간 해독, 신진대사
생강, 대추야자, 계피 순환 강화, 항산화
보리, 잣, 요거트 소화력 안정, 면역
도라지, 고등어, 무화과 폐 보양, 피부 보습
된장, 호두, 꿀 신장 보조, 기력 강화

마무리하며 – 왕의 아침, 나의 아침

역사 속 왕의 식단은 ‘사치’가 아닌, 철학이 담긴 건강식이었습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더는 궁중 요리나 제국의 연회를 재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하루 한 끼만큼은 왕처럼’, 스스로를 귀하게 여기고 아침 한 그릇에 의미를 담는 마음은 누구나 가질 수 있죠.

이 콘텐츠를 통해 각자의 아침 식단을 돌아보고, 역사와 약선의 지혜를 현대에 재구성하는 기회가 되었길 바랍니다.